CCSpriteBatchNode 를 사용하는데 addChild 되어있는 이미지가 전부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다.

이때는 capacity 를 의심 해 볼 필요가 있는데 로그를 보면 CCSpriteBatchNode 의 capacity를 자동으로 늘려주는 로그가 있다.

이 로그에서 capacity 값이 내가 addChild 한 값보다 작은경우 addChild 한 갯수만큼 처음 생성할때 capatcity 값을 지정해주면 문제 없이 표현이 된다.



1
CCSpriteBatchNode* spriteBatch = CCSpriteBatchNode::create("spriteName.png",66);
Posted by 후미카
:

error C2243: '형식 캐스팅' : ....(으)로의 변환이 있지만 액세스할 수 없습니다.


에러메세지는 클래스 상속에서 발생.


1
2
3
4
class B : A
{
    ...
};

위와 같이 클래스명으로만 상속을 받게 되면 생기는 에러 메세지 이다.



1
2
3
4
class B : public A
{
    ...
};

위와 같은 형태로 상속받아야 한다.

Posted by 후미카
:

error C2360: 'value' 초기화가 'case' 레이블에 의해 생략되었습니다.


case 문 내에서 선언된 로컬변수 때문에 발생하는 오류이다.

할당된 영역이 실행 로직에 따라 가변적이므로 컴파일 시 스택 영역의 크기를 알 수 없기 떄문에 발생하는 오류.


해결방법 :


case 문 내에서 선언 및 초기화를 할 때애는 {} 를 사용하면된다.




1
2
3
4
5
6
7
8
switch(type)
{
case A:
  {
    int i = 0;
  }
  break;
}


Posted by 후미카
:

카테고리

전체보기 (102)
Development (102)

최근에 올라온 글

최근에 달린 댓글

최근에 받은 트랙백

달력

«   2025/04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

글 보관함